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3

조선왕조, 임진왜란(1) 총명하고 자애로운 인종의 즉위 인종은 조선 왕들 가운데 가장 짧은 치세를 남겼다. 여섯 살에 책봉된 뒤로 장장 스물네 해 동안 세자 교육을 받았지만, 임금으로 보낸 시간은 여덟 달 남짓이었다. 그럼에도 당대 사류가 인종을 성군의 자질을 갖춘 군주로 추숭한 까닭은 분명했다. 어려서부터 글을 좋아해 경서를 탐독했고, 말과 행동이 공손했으며, 효심이 지극했다. 문제는 그 효심이 몸을 해칠 만큼 깊었다는 데 있었다. 중종이 승하하자 인종은 여러 날을 제대로 먹지 못한 채 통곡했고, 겨우 죽으로 연명하는 나날이 이어졌다. 어느 날은 창덕궁과 경복궁의 처처를 돌며 “이곳에 앉으셨고 저곳에 기대셨다”라며 선왕의 흔적을 더듬다 하루를 보냈다고 한다. 굶주림과 슬픔이 겹쳐 몸은 급속히 쇠약해졌고, 대신들은 그에게 밥 한.. 2025. 8. 22.
조선왕조, 연산군(2) 1) 결국 미쳐버린 연산군의 최후무오·갑자 두 번의 사화로 조정의 기둥 같은 인물들이 대거 쓰러지자, 바른말을 올리는 벼슬아치는 드물어졌다. 그 와중에도 끝내 직언을 멈추지 않은 인물이 김처선이었다. 야사인 《연려실기술》에 전하는 바에 따르면, 어느 날 연회 자리에서 김처선이 “늙은 신하가 여러 임금을 모셨으나 전하처럼 행동하는 이는 본 적이 없습니다”라고 따끔히 아뢰었다. 격분한 연산군이 활을 들어 그의 옆구리에 화살을 쏘았는데, 김처선은 쓰러진 채로도 “내 한 몸 죽는 것은 두렵지 않으나, 전하께서 오래 보위에 계시지 못할까 염려될 뿐”이라 했다. 왕은 그의 다리를 자르게 하고 “일어나 걸어 보라”고 조롱했으나, 김처선은 “상감도 다리가 잘리면 걸을 수 있겠습니까”라며 끝까지 군주의 자제를 당부했다는.. 2025. 8. 21.
조선왕조, 연산군 무오사화: 사초에서 피어난 첫 번째 화(禍)1498년, 연산군 즉위 초기의 팽팽한 긴장 위로 사림(士林)과 훈구(勳舊)의 오래된 균열이 터졌다. 발단은 사초였다. 실록 편찬의 재료가 되는 사초 가운데 김종직의 「조의제문」이 문제로 지목되었다. 글은 중국 항우와 의제의 고사를 빌려 세조의 계유정난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으로 해석되었고, 이미 세상을 떠난 김종직의 글이 제자들의 손을 거쳐 《성종실록》 편찬 과정에 반영되었다는 점이 빌미가 되었다. 훈구 측은 이를 “왕실 정통을 훼손하는 문장”으로 규정했고, 연산군은 즉각 강경 기조로 돌아섰다. 김일손 등 제자·관련 관원들이 차례로 국문을 당했으며, 당사자인 김종직에게는 사후의 극형인 부관참시가 내려졌다. 첫 사화로 사림은 크게 꺾였고, 연산군은 왕권의 직접적.. 2025. 8. 20.
조선왕조, 폐비 윤씨 피바람을 부른 폐비 윤 씨의 죽음 성종 즉위 초, 한 궁인이 몇 해 뒤 중궁에 오르게 된다. 훗날 ‘폐비 윤 씨’로 불리는 그 사람이다. 궁중 평판은 검소하고 행실이 단정하다는 것이었고, 무엇보다 왕실이 손꼽아 기다리던 첫 아들을 잉태했다는 사실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왕실에서 장손의 의미는 지극히 컸다. 왕통의 안정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윤 씨가 왕비로 책봉되자 일시적으로 내명부의 기강은 정돈되는 듯 보였다. 그녀는 아들을 낳아 세자 책봉의 길을 열었고, 궁안팎에서는 “중궁의 덕이 드러났다”는 칭찬도 뒤따랐다. 하지만 출산 뒤 곧바로 불길한 그림자가 드리웠다. 성종은 젊은 임금이었다. 유교 정치에 몰두하며 낮에는 정사를, 밤에는 경연과 독서로 시간을 보냈고, 후궁들이 있는 내전에도 들락날락했다. 산후의.. 2025. 8. 19.
조선왕조, 태평성대 성종 성종의 즉위는 준비된 계승이 아니라 급전의 결과였다. 겨우 열세 살에 왕위에 오른 그는 세자 수업을 밟을 여유도, 아버지 임금의 그늘에서 국정을 배울 시간도 없었다. 적장자도 아니었다. 형 월산대군과 사촌 제안대군을 제치고 어린 나이에 즉위했으니 스스로 통치 능력을 증명해야 했다. 다행히 곁에는 노련한 대왕대비 정희왕후가 있었다. 정희왕후는 수렴청정을 통해 초기 국정을 안정시키고, 원상제를 가동해 원로 대신들의 합좌 체계를 굴려 어린 군주가 국정 리듬을 익히게 했다. 이 과도기 장치는 예종 대보다 한층 촘촘히 작동했고, 성종은 그 틀 안에서 빠르게 배우며 성장했다. 성종이 택한 학습법의 중심은 경연이었다. 그는 낮의 정규 강론에만 의존하지 않았다. 밤에도 신하를 불러 보충 토의를 열었는데, 이를 야대라 .. 2025. 8. 18.
조선왕조, 조선의 발전을 이룬 예종 1468년, 세조와 정희왕후의 둘째 아들 해양대군이 왕위를 이었고 역사에서는 8대 임금 예종으로 기록된다. “왜 장자가 아닌 차자가 즉위했는가”라는 물음은 의경세자의 요절에서 출발한다. 세조의 적장자였던 의경세자는 왕세자로 책봉되어 정식으로 세자 교육을 받았으나 원인 불명의 병세로 스무 살 무렵 세상을 떠났다. 의경세자에게는 월산대군과 자을 산군 두 아들이 있었는데, 후일 자을 산군이 성종으로 즉위하고 아버지를 덕종으로 추존한다. 종법의 원칙대로라면 장손인 월산대군이 종계를 잇는 것이 자연스러워 보였지만, 당시의 시점에서 월산대군은 아직 나이가 어렸고 국정의 중추를 맡기기에는 경험과 기반이 부족했다. 세조는 국가의 연속성과 안정을 우선시하여 성인이며 군사와 예악, 문무에 두루 익숙한 차남 해양대군을 세자.. 2025. 8. 17.
반응형